
남한지역 biomass burning 배출의 장기추세 분석과 에어로졸 및 CO 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
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(2022~2021년)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biomass burning (BB)과 산불의 장기변화 추세와 최근 10년 이내 가장 큰 시공간적 규모로 발생한 울진 산불 사례(2022년 3월 4일~13일)에 대해 고해상도 BB 배출량이 대기오염물질 […]
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(2022~2021년)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biomass burning (BB)과 산불의 장기변화 추세와 최근 10년 이내 가장 큰 시공간적 규모로 발생한 울진 산불 사례(2022년 3월 4일~13일)에 대해 고해상도 BB 배출량이 대기오염물질 […]
최근 서울지역의 도시열섬강도과 대기오염물질의 장기변동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. 서울의 도시열섬강도는 미약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, 대부분의 대기오염물질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. 2차오염물질인 오존은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. 도시열섬강도와 대기오염물질은 대부분 물질에서 […]
Lee, K., Lee, C. H., & Lee, J. (2021). Semi-supervised anomaly detection algorithm using probabilistic labeling (SAD-PL). IEEE Access, 9, 142972-142981. To detect abnormal data via semi-supervised learning, unlabeled data are generally […]
국내·외적으로 해양 박테리아에서 유래한 효소는 바이오산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산업적 응용을 위한 효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. 제주 연안은 대마난류, 황해난류 등 다양한 해류와 지하수 유출 등 다양한 수괴의 […]
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s sensor-based space interfacing technologies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metaverse. This technology demands prompt responsiveness and significant computational resources. Specifically, the sensor is playing […]
최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급격한 해양환경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해양생태계 먹이피라미드의 기초생물군 중 주요 분류군인 식물플랑크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. 제주 연안은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위치하며, 계절에 따라 대마난류, […]
The 2nd BigOCEAN Metarence(The 4th Space: Metaverse in Our Future, Prof Jinho Bae)
Image-Based Visual Servo Control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pply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
Advanced material-based self powered devices and neuromorphic devic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
The 2nd Global Short Course Program in 2024-Japn(2024.1.29~2024.2.2) · 2024.1.29.~1.30. Cluster GOTANDA Tokyo Office(Tokyo) · 2024.1.31.~2.1. Big Sight(Tokyo)